아래를 읽어보시면 1주일 간 두바이 경비의 구성 포인트와 항공권·숙박·식비의 현실적 비용 범위, 한국 물가와의 비교, 비용 절약 팁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두바이 기본 정보와 방문 시기
- 1-1 최적 방문 시기
- 1-2 안전 및 현지 환경
- 2. 1주일 예산의 구성: 기본 가정
- 2-1 기본 시나리오 A(중간 예산, 5일 일정)
- 2-2 기본 시나리오 B(확대 예산, 7일 일정)
- 3. 주요 비용 항목별 현황
- 3-1 항공권 비용과 시기
- 3-2 숙박 비용과 지역별 차이
- 3-3 식비와 음식 선택
- 3-4 교통비와 현지 이동
- 3-5 관광 명소 입장료
- 4. 비용 절약 전략과 팁
- 4-1 조합형 투어 및 조기 예약
- 4-2 비수기 방문과 지역 축제 활용
- 4-3 수크 쇼핑과 가격 협상
- 4-4 현지 대체 옵션 활용
- 5.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1주일 두바이 여행의 최소 예산은 어느 정도인가요?
- Q2. 어떤 호텔 등급이 비용 효율적일까요?
- Q3. 현지에서 인터넷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 Q4. 입장권은 언제 예약하는 것이 좋나요?
- 함께보면 좋은글!
1. 두바이 기본 정보와 방문 시기
1-1 최적 방문 시기
두바이는 가을부터 초봄(11월~3월)이 쾌적합니다. 낮 기온이 20–30도 정도로 실외 관광에 무리가 없고, 비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 야외 명소를 즐기기에 좋습니다. 여름(4월~10월)은 고온이 매우 심해 야외 활동이 힘들지만, 실내 중심의 일정과 쇼핑, 에어컨이 빵빵한 시설 이용으로도 충분히 여행할 수 있습니다.
1-2 안전 및 현지 환경
두바이는 국제적으로 비교적 안전한 도시로 꼽힙니다. 치안 분위기가 안정적이며, 관광지 주변은 무리 없이 다닐 수 있습니다. 다만 무더위를 피하기 위해 실외 시간대를 조정하고, 현지 규칙과 예절을 간단히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1주일 예산의 구성: 기본 가정
다음은 5일~7일 일정에서 일반적으로 참고할 만한 비용 구성의 가정입니다. 여행 시기, 호텔 등급, 쇼핑 규모에 따라 상하가 크므로 예비 예산을 여유 있게 잡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2-1 기본 시나리오 A(중간 예산, 5일 일정)
- 항공권: 인천-두바이 왕복 약 80만 원대부터 시작, 경유 여부에 따라 변동. 직항은 대체로 120만 원대 이상이 흔합니다.
- 숙박: 3성급 도시형 호텔 기준 1박 8만 원대부터 시작, 5일이면 약 40만 원대
- 식비: 하루 6만 원대 예산으로 5일 약 30만 원 정도
- 교통: 현지 대중교통 패스 및 택시 초기 요금 포함으로 5일치 약 6–8만 원
- 관광/입장권: 주요 명소 입장료를 합쳐 약 15–20만 원대
- 예비비/기타: 20–30만 원
- 총합(대략): 약 180–230만 원대부터 시작
2-2 기본 시나리오 B(확대 예산, 7일 일정)
- 항공권: 경유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00만 원대에서 시작해 180만 원대까지 가능
- 숙박: 4성급 이상 중심으로 1박 12–25만 원대, 7일 기준 84–175만 원
- 식비: 고급 레스토랑 이용 시 1인당 식사 비용이 상승, 하루 평균 7만 원대
- 교통: 무제한 이용 패스나 Uber 계열 택시 이용 시 증가 가능
- 관광/입장권: 더 많은 명소 탐방으로 20–30만 원대 추가
- 예비비/기타: 여유 있는 일정으로 40–60만 원
- 총합(대략): 약 300만 원대 이상까지 변화
참고로 위 수치는 시기, 호텔 등급, 계획하는 활동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해 대략적인 비교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항목 | 대략 범위(AED) | 한국 원 환산(대략, 1 AED ≈ 360–420 KRW) |
---|---|---|
항공권(인천~두바이 왕복, 경유 포함) | 80–180만 원대 | 약 75–170 AED |
숙박(1박, 3성) | 6–10만 원 | 약 15–28 AED |
숙박(1박, 4성 이상) | 35–100만 원 | 약 95–240 AED |
식비(하루) | 6만 원대 | 약 14–20 AED |
교통(일일 패스 포함) | 1일 약 22 AED | 약 9–22 AED/일 |
관광입장료 | 성인 50–180 AED | 약 20–70 AED |
인터넷/데이터 | 1–2만 원대 | 약 5–10 AED |
보험 | 2만 원대 | 약 5–8 AED |
두바이의 물가 특성상 예산은 “저렴한 선택은 저렴하게, 럭셔리한 선택은 고가로” 형성되는 경향이 큽니다. VAT 5%가 도입되어 일부 품목의 가격이 상승한 현황도 반영해두면 좋습니다.
3. 주요 비용 항목별 현황
3-1 항공권 비용과 시기
- 성수기(연휴·여름방학)에는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 경유 이용 시 직항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고, 항공사 프로모션을 활용하면 큰 폭의 절감이 가능합니다.
- 예산에 맞춰 시기를 조정하면 항공권의 큰 폭 절감이 가능하므로, 예약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3-2 숙박 비용과 지역별 차이
- 시티 중심가(다운타운/주요 쇼핑몰 인접)는 가격대가 높고 공급이 한정적일 수 있습니다.
- 예산형 옵션은 외곽 지역이나 3성급 이하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
- 같은 호텔이라도 객실 등급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예약 시 상세 옵션을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3-3 식비와 음식 선택
- 저렴한 현지식은 비교적 합리적이며, 올드 두바이의 로컬 식당은 가성비가 좋습니다.
- 외식 고급화 구간은 1인당 10만 원 이상도 가능하므로 예산 관리가 중요합니다.
3-4 교통비와 현지 이동
- Nol Card 시스템으로 지하철/버스/트램 이용 가능.
- 1일 패스로 무제한 이용하는 옵션이 가격적으로 편리합니다.
- 택시 기본 요금과 시간대별 요금 차이를 고려해 이용하면 예상 경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3-5 관광 명소 입장료
- 부르즈 칼리파 등의 주요 명소는 입장료가 비교적 높게 형성됩니다.
- 사전 예약 및 조기 예매 시 할인 혜택이 있는 경우가 있어 방문 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비용 절약 전략과 팁
4-1 조합형 투어 및 조기 예약
항공권+호텔 패키지나 현지 투어를 미리 예약하면 단독 예약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세일 기간이나 시즌 종료 직전 특별가를 노려보세요.
4-2 비수기 방문과 지역 축제 활용
라마단 기간이나 여름철에는 하루 경비가 줄어드는 편입니다. 다만 식당 운영 시간과 쇼핑몰 운영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일정을 유연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4-3 수크 쇼핑과 가격 협상
수크(전통 시장)에서는 가격 협상이 일반적입니다. 대량 구매 시 추가 할인도 가능하므로 예산 관리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4-4 현지 대체 옵션 활용
현지 식당과 대중교통 이용을 우선으로 하면 경비를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유명 고급 레스토랑을 꼭 방문하고 싶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예산의 큰 비중을 현지 맛집과 저가 옵션에 분배하는 것을 권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1주일 두바이 여행의 최소 예산은 어느 정도인가요?
가벼운 일정으로도 5일 기준 180만 원대부터 시작합니다. 항공권 가격, 호텔 등급에 따라 더 오르거나 내립니다.
Q2. 어떤 호텔 등급이 비용 효율적일까요?
합리적으로는 3성~4성급 중상급 호텔이 균형이 좋습니다. 위치를 고려해 숙박비를 관리하고, 꼭 가보고 싶은 명소 인근은 예산 여유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Q3. 현지에서 인터넷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현지 SIM 카드나 휴대용 핫스팟 대여가 일반적입니다. 5일 기준은 대략 20–60 AED 범위의 비용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4. 입장권은 언제 예약하는 것이 좋나요?
일부 인기 명소는 사전 예약이 필수인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전망대나 인기 전시의 경우 예약 수수료를 감안하면 현장 구매보다 합리적일 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