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도 전기차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보조금 정책을 통해 전기차 보급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 제약과 정책 변화로 인해 보조금 구조와 금액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전국 주요 지역의 전기차 보조금 현황, 신청 방법, 보급 현황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
보조금 지급 체계 개편
환경부는 2024년 2월 전기차 보조금 지급 체계를 개편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행거리와 충전 속도: 이 두 가지가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 우선 지원: 안전성과 환경 친화성이 높은 차량이 우선적으로 보조금을 지급받습니다.
- 제조사 책임: 제조사의 사후관리 책임이 강화되며, 충전 인프라 개선이 요구됩니다.
- 취약계층 지원 확대: 청년,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구매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 NCM 배터리 지원 강화: 니켈, 코발트, 망간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전기차의 실용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국내 배터리 및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2024년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현황
전국 주요 지역의 전기차 보조금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승용 전기차 기준 최대 보조금 금액입니다.
지역 | 국비 (만원) | 지방비 (만원) | 총액 (만원) |
---|---|---|---|
서울특별시 | 650 | 150 | 800 |
부산광역시 | 650 | 250 | 900 |
대구광역시 | 650 | 300 | 950 |
인천광역시 | 650 | 300 | 950 |
광주광역시 | 650 | 370 | 1,020 |
대전광역시 | 650 | 300 | 950 |
울산광역시 | 650 | 325 | 975 |
세종특별자치시 | 650 | 250 | 900 |
경기도 | 650 | 200~400 | 850~1,050 |
강원특별자치도 | 650 | 251~288 | 901~938 |
충청북도 | 650 | 650 | 1,300 |
충청남도 | 650 | 700 | 1,350 |
전라북도 | 650 | 700 | 1,350 |
전라남도 | 650 | 600~850 | 1,250~1,500 |
경상북도 | 650 | 600~1,100 | 1,250~1,750 |
경상남도 | 650 | 566~1,140 | 1,216~1,790 |
제주특별자치도 | 650 | 400 | 1,050 |
지방자치단체별로 보조금 금액 차이가 큽니다. 특히 경상남도 거창군의 경우 최대 1,790만원까지 지원하여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반면 서울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이는 높은 전기차 보급률과 예산 제약 때문입니다.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전기차 보조금을 신청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방자치단체의 전기차 보급사업 공고 확인
- 구매 희망 차종의 제조/판매사와 구매계약 체결
- 제조/판매사를 통해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에 구매지원 신청서 제출
- 지자체의 대상자 선정 및 통보 (보통 출고·등록순)
- 차량 출고 및 등록 (대상자 선정 후 2개월 이내)
- 보조금 지급 신청 (출고, 등록 후 10일 이내)
- 보조금 지급 (신청 후 14일 이내)
신청 방법 및 신청서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해당 지자체의 공고문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면 지원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지역별 전기차 보급 현황 (2024년 7월 기준)
주요 지역의 전기차 보급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 보급 목표 (대) | 실제 보급 (대) | 달성률 (%) |
---|---|---|---|
서울특별시 | 7,380 | 4,767 | 64.6 |
부산광역시 | 4,940 | 2,116 | 42.8 |
대구광역시 | 3,679 | 1,895 | 51.5 |
인천광역시 | 5,520 | 2,363 | 42.8 |
광주광역시 | 1,772 | 914 | 51.6 |
대전광역시 | 2,605 | 1,125 | 43.2 |
울산광역시 | 1,803 | 678 | 37.6 |
세종특별자치시 | 100 | 81 | 81.0 |
경기도 수원시 | 1,993 | 1,194 | 59.9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400 | 235 | 58.8 |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급 목표의 절반 정도만 달성한 상태입니다. 이는 하반기에 추가 물량 배정이나 보조금 정책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기차 보조금 관련 주의사항
전기차 보조금 신청 시 유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차종과 지역에 따른 차이: 보조금은 지역과 차종에 따라 다르며,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의무운행기간 준수: 차량을 소유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보조금을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법인 지원: 법인의 경우 대부분 1대로 제한되지만, 일부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전기차 보조금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
각 지역별로 정해진 예산이 소진될 때까지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일반적으로 연말까지 진행되지만, 조기에 예산이 소진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을 받은 후 차량을 판매해도 되나요?
대부분의 지역에서 의무운행기간이 있으며, 이 기간 내에 차량을 판매하면 보조금을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역으로 이사 가면 보조금을 반환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의무운행기간 내에 타 시도로 이전하는 경우 보조금을 일부 또는 전액 반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법인도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나요?
대부분의 지역에서 법인도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법인당 1대로 제한되며, 택시 법인 등 일부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어떤 순서로 지급되나요?
대부분의 지역에서 ‘출고·등록순’으로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2024년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본인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전 글: 희귀동전 년도 및 가격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