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 주식을 거래하고 있다면 꼭 알아야 할 세금, 바로 양도소득세죠. 혹시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 계산과 신고 기한을 모른다면, 아래를 읽어보시면 굉장히 유용할 거예요. 이 글을 통해 비상장 주식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금의 간단한 계산법과 신고 기한을 자세히 정리해볼게요.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기한
비상장 주식은 연 2회 신고 기간이 있어요. 상반기에 거래했다면 7월부터 8월 사이에 신고해야 하고 하반기 거래 시는 다음 해 1월부터 2월 사이에 신고하면 돼요. 이 기한을 놓치면 과세를 물게 되니 꼭 주의하세요!
신고 항목 | 기한 |
---|---|
상반기 거래 | 7월~8월 |
하반기 거래 | 다음해 1월~2월 |
기한을 놓치면 20%의 가산세가 추가된다고 하니 정말 조심해야 해요. 그리고 과소신고를 하면 10%의 가산세가 붙고, 고의로 과소신고를 하면 40%까지 올라간답니다. 엄청 무서운 일이지요? ㅠㅠ 상황에 따라 미납세액에 대한 납부지연 세금도 발생할 수 있으니, 잊지 말고 꼭 신고해야 합니다!
비상장 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내가 대주주인가 아닌가
비상장 주식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의 계산은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져요. 먼저 내가 대주주인지 아닌지에 따라 세율이 다르고 또 회사가 중소기업인지도 중요한 요소랍니다.
양도세 계산에 따른 구분
구분 | 대주주 | 중소기업 | 기타 |
---|---|---|---|
1년 미만 보유 | 30% | – | – |
1년 이상 보유 & 과세표준 3억 이하 | 20% (누진공제 1500만원) | 20% (누진공제 1500만원) | 20% |
1년 이상 보유 & 과세표준 3억 초과 | 25% (누진공제 1500만원) | 25% | 20% |
대주주 외 | 20% | 10% | – |
저는 개미 투자자였고 중소기업 외의 비상장 주식으로 매도했기 때문에 주식 기본 공제 금액인 250만원을 제한 후 20%의 양도세를 냈어요. 전체 양도세는 22%로, 양도소득세 20%와 지방세 2%를 포함한 결과죠. 예를 들어, 2000만원에 산 주식이 3000만원이 되면 수익 1000만원에서 250만원을 제한 750만원을 기준으로 22%의 세금을 내게 됩니당.
세금 신고 시 주의할 점
비상장 주식의 경우 거래를 할 때 증권거래세도 따로 내야 해요. 제가 활용한 증권플러스 비상장 앱은 거래 시 자동으로 세금이 계산되어 납부되니, 이렇게 이용하면 편리하게 할 수 있어요. 증권 거래세는 매도 금액의 0.35%이니 이 점도 잊지 마세요!
안 쓰고 있는 비상장 주식이 있다면 매도해도 괜찮을까요? 적절한 시기에 매도해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답니다. 필요한 경우 참고할 수 있는 국세청 자료 링크도 걸어 놓을게요!
결론 및 추가 팁
비상장 주식 양도소득세의 계산 방법과 신고 기한을 알아보았어요. 2025년도에는 신고 마감일이 많아서 저도 사실 깜빡할 뻔했거든요 ㅎㅎ 돈을 벌었으면 그에 대한 세금도 납부해야 하니까 그 점을 명심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추가로,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도 빠른 시일 내에 포스팅할 예정이니 유용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구독하고 지켜봐 주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비상장 주식 양도소득세 세율은 얼마인가요?
비상장 주식 양도소득세 세율은 대주주 여부와 보유 기간에 따라 10%~30%까지 변동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세요.
비상장 주식 신고 기한은 언제인가요?
비상장 주식은 상반기 거래는 7월~8월에, 하반기 거래는 다음 해 1월~2월에 신고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신고를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신고 기한을 놓치면 20%의 가산세가 발생하며 과소신고 시 10%, 고의 과소신고 시 40%의 가산세가 붙습니다.
증권 거래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증권 거래세는 매도 금액의 0.35%로 계산되며, 거래 시 자동으로 납부될 수 있는 앱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 비상장 주식 거래도 잘 관리하고 신고하시면 좋겠네요. 제가 먼저 경험해본 정보를 여기에 공유했으니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