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에 대한 궁금증이 많으신가요?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통해 예상 지급액과 지급 일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용 24에서 제공하는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지급 일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란?
모의계산기 개요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는 비자발적으로 퇴사한 피보험자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의 액수와 지급 일수를 계산해 주는 도구입니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만큼 신뢰성이 높고,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합니다.
사용 방법
고용 24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정책/제도’ 메뉴에서 ‘지원금 모의계산’을 선택한 후, ‘실업급여 계산해 보기’를 클릭하면 모의계산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계산 유형
간편 모의계산
간편 모의계산은 퇴사 당시 나이, 장애 여부, 근로 기간, 1일 소정 근로시간, 월 평균 임금을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만 35세, 24개월 근무, 월급 250만 원이라면 총 5개월 동안 일일 66,104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세 모의계산
상세 모의계산은 생년월일, 장애 여부, 고용보험 총 가입 기간, 1일 소정 근로시간, 월평균 임금을 입력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지급일수와 구직급여액이 나타납니다.
구직급여일액은 전체 급여의 60%가 적용되며, 하한액이 보장됩니다. 예를 들어, 1일 평균 급여액이 82,417원일 경우, 60%는 49,450원이지만 하한액인 63,104원이 적용됩니다.
실업급여 지급 일수
아래 표는 고용보험 실업급여 지급 일수를 연차와 나이에 따라 정리한 것입니다.
구분 | 1년 미만 | 1년 ~ 3년 | 3년 ~ 5년 | 5년 ~ 10년 | 10년 이상 |
---|---|---|---|---|---|
50세 미만 | 120일 | 15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50세 이상 및 장애인 | 12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270일 |
수급 기간은 만 50세를 기준으로 달라지며, 50세 이상이거나 장애인일 경우 30일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신청 시 유의사항
실업급여는 퇴사일 다음날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만 65세 이후에 신규로 고용보험에 가입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적용이 제외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실업급여는 언제까지 신청할 수 있나요?
퇴사일 다음날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실업급여는 평균 임금의 60%가 지급되며, 하한액과 상한액이 있습니다.
장애인 수급자는 얼마나 더 받을 수 있나요?
50세 이상인 장애인은 일반 수급자보다 30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비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만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는 어디서 이용할 수 있나요?
고용 24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실업급여 모의계산기 사용법과 지급 일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업급여는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생계를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이므로, 필요한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